나의 이야기

비내섬(忠州)

영대디강 2021. 1. 17. 05:35

비내섬은 충청북도 충주시 앙성면 조천리에 있는 갈대이다. 남한강에 992000m2 면적으로 축구장 138배의 크기라 한다. 이곳에서는 예전에 갈대를베어(비어)’로 표현하여 갈대강에 생긴 섬이라서 비내섬이라 부른단다.

이곳은 인공 구조물이 아무것도 없다. 남한강 물줄기를 따라 흐르는 물소리와 드넓게 펼쳐진 갈대 숲의 서걱이는 자연의 소리만 가득한 습지보호구역이라 소리의 섬이라고 이름하였나보다.

아마도 드라마의 소품이었을알록달록한 손수레가 이곳이 영화 촬영지였음을 알려주고 있다. 나루터에 누가 끌고가려다가 그냥 놓아둔 거 같기도 하지만, 사실은 이곳을 찾는 사람들의 사진촬영을 위한 포토존 소품이라고 한다.

비내섬을 배경으로 촬영된 드라마와 영화는 '사랑의 불시착'을 비롯해서 근초고왕, 광개토대왕, 권우치, 불의 여신 정이, 정도전, 육룡이 나르샤, 징비록, 삼총사, 서부전선, 수백향 등이 있다며 입구에 안내 표지판으로 세워놨다.

이곳을 찾는 사람들은 두 발로 걷는 것만 허용되고, 차랑진입과 캠핑이나 야영 및 수렵과 식물 채취 등의 모든 행위가 불법이라는 오직 자연친화적 공간뿐이라서, 걷는 길에는 구간별 안내 표지판 조차도 세워져 있지 않는데, 뜬금없이 영화촬영장이라는 안내판이 중간에 화살표로 나타나서 놀라게 된다.

"갈대는 /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 바람도 달빛도 아닌
갈대는 저를 흔드는 것이 조용한 울음인 것을 / 까맣게 몰랐다.
산다는 것은 속으로 이렇게 / 조용히 울고 있는 것이란 것을 / 그는 몰랐다." 
신경림갈대중에서.

 

충주시에 있는 관광명승지. 정식명칭은 충주 탄금대이다. 본래 대문산이라 불리웠던 충주의 산자락 하나였는데 가야금 창시자격인 우륵 신라 진흥왕 앞에서 가야금곡을 연주하고 왕으로부터 찬사를 받게 되고, 우륵이 충주땅에 거처지를 마련하여 청년들 앞에서 가야금을 연주하게 되고 소리를 듣게 사람들이 모여서 마을을 이루었으니, 바로 지금의 탄금대라는 이름이 생기게 되었는데, 정작 삼국사기나 다른 역사 자료에 따르면 우륵은 당시 신라 왕에게 가야금곡을 만들어주긴 했어도 가야금 제작, 연주는 하지 않았다고 기록되어 있단다.

충주시 칠금동에 있는 조선시대 누각. 1976 12 21일 충청북도기념물 제4호로 지정되었다. 신라 진흥왕 때 악성(樂聖) 우륵(于勒)이 가야금을 탄주하던 곳이라 전한다. 본래 대문산이라 부르던 작은 산으로 밑으로 남한강과 접하면서도 기암절벽에 송림이 우거져서 경치가 좋은 곳이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보면, 우륵은 가실왕(嘉悉王) 당시의 가야 사람으로 나라가 어지러워지자 가야금을 가지고 신라에 귀화하였다. 진흥왕이 기뻐하여 우륵을 충주에 거주케 하고는 신라 청년 중에서 법지(法知)·계고 (階古)·만덕(萬德)을 뽑아보내 악()을 배우게 하였다. 우륵은 이들의 능력을 헤아려 각기 춤과 노래와 가야금을 가르쳤다 한다. 그는 이곳을 우거지(寓居地)로 삼고 풍치를 상미하며 산상대석(山上臺石)에 앉아 가야금을 타니, 그 미묘한 소리에 사람들이 모여 마을을 이루었다고 한다. 이로 연유하여 이곳을 탄금대라 불렀다.

탄금대 북쪽 남한강 언덕에 열두대라고 하는 100척이나 되는 절벽이 있는데 신립이 전시에 12번이나 오르내리며 활줄을 물에 적시어 쏘면서 병사들을 독려하였다고 하는 곳이다. 이곳에는 신립의 충의심을 기리기 위해 군수 김용은(金容殷)이 건립하고 육당(六堂) 최남선(崔南善)이 찬한 탄금대비가 있다. 또 충주문화원, 야외음악당, 충혼탑, 감자꽃노래비, 탄금정, 악성 우륵선생 추모비, 신립장군 순절비, 조웅장군 기적비, 궁도장, 대흥사 등과 조각공원 및 체육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남한강과 달천이 합류하는 지점에 자리한 나지막한 산은 풍광이 매우 아름답다. 우륵은 이곳의 풍치를 탐미하여 산 정상에 있는 너럭바위에 앉아 가야금을 탔으며, 우륵이 금()을 탄 곳이라고 해서 붙여진 ‘탄금대(彈琴臺)’다. 우륵이 연주하는 가야금의 미묘한 소리는 사람들을 불러모으기 시작했고 곧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한다. 탄금대 주변에는 지금도 가야금과 관련된 지명이 남아 있다. 칠곡리(칠금동), 금뇌리(금능리), 청금리(청금정) 등의 마을 명칭은 모두 가야금과 관련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