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합정리에 위치한 백제 역사 문화단지는 백제역사문화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고자 3,276천㎡(100만평) 규모로, 1994년부터 2010년까지 약 17년간 충청남도 부여군에 조성된 역사테마파크이다. 1993년 백제문화권 종합개발계획이 확정 후 1998년 백제문화단지 기반시설공사를 착수하여2006년에 개관하였다. 백제문화단지는 찬란한 문화의 꽃을 피우던 백제역사문화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고자 건립한 한국 최대 규모의 역사테마파크이다. 넓은 부지 위에 웅장한 백제문화의 흔적이 남았다. 백제의 왕궁인 사비궁은 삼국시대 왕궁의 모습을 최초로 재현했다. 백제의 왕실 사찰 능사는 부여읍 능산리 유적을 실물 크기로 복원했다. 중문인 대통문을 지나 마주하는 능사 오층석탑은 단지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문경새재는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에 있다. 충청북도와 경상북도 경계에 위치한 이화령 휴게소에서 문경으로 난 3번 국도를 따라 약 6.5㎞쯤 가면 길 왼쪽에 진안리 검문소와 함께 문경새재 제1관문으로 가는 2번 시도로가 나온다. 2번 시도로를 따라 약 2.5㎞쯤 가면 제1관문 주차장에 도착한다. 주차장에서부터는 걸어서 문경새재를 넘어야 한다. 제1관문 주차장 주변에는 지역특산품을 파는 상점과 음식점 호텔 등이 있다. ‘새재’라는 이름의 유래는 매우 다양하다. 고갯길이 워낙 높아 ‘새도 날아서 넘기 힘든 고개’라는 데서 유래했다고도 하고, 고갯길 주변에 새(억새)가 많아 ‘억새풀이 우거진 고개’라는 뜻이라고도 한다. 또한 하늘재(麻骨嶺)와 이우리재(伊火峴) 사이의 고갯길을 의미하는 ‘새(사이)재’에서..
인천 남동구 소래로154번길 77(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에 있는 공원이다. 총 넓이는 약 350만 ㎡에 이른다. 이중 폐염전을 중심으로 66만 ㎡가 1999년 6월 개장되었다. 소래습지생태공원은 갯벌, 갯골과 폐염전 지역을 다양한 생물 군락지 및 철새 도래지로 복원시키기 위한 공원 조성 사업을 2009년 5월 완료하여, 습지 내 각종 해양생물을 관찰하고, 천일염을 생산했던 시설물과 자료를 볼 수 있는 전시관이 있으며, 직접 천일염 생산 및 습지 내 사는 다양한 동, 식물을 탐구해 볼 수 있는 자연학습장과 광활한 갈대 및 풍차, 산책로, 쉼터 등이 마련되어 있어, 시민의 편안한 휴식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염전학습장은 폐염전을 복구한 곳으로 넓이는 약 4만 ㎡이다. 이곳에서 하루 400~1,200kg의..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호수공원길 155의 호수공원은 총면적은 약 70만 5,768㎡이고, 호수면적은 32만 2,800㎡이다. 담수량은 50만 8천 톤이며, 평균수심은 1.5m이다. 세종시 중심행정타운 남쪽에 위치하며 금강 강물을 끌어와 인공호수를 만들어 공원으로 조성하였다. 2013년 3월 완공되었으며, 오전 5시에 개방하여 23시까지 연중무휴로 개방된다. 공원 내에는 다양한 테마의 시설을 갖추고 있는데 광장분수가 있고 가족단위로 야외활동을 즐길 수 있는 호수소풍숲이 있다. 이곳에는 자작나무 등 다양한 수종들이 식재되어 있다. 바람의 언덕은 전망이 좋은 곳으로 잔디로 완만한 언덕이 조성되어 있다. 호수전망대는 정원으로 꾸며져있으며 주변을 관찰하기에 좋은 곳이다. 수상무대섬에는 다양한 축제행사와 야외음악회..
시흥갯골생태공원은 경기도 유일의 내만갯벌과 옛염전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아름다운 공원이다. 이곳에서는 칠면초, 나문재, 퉁퉁마디 등의 염생식물을 관찰할 수 있으며, 붉은발농게, 방게 등을 관찰할 수 있다. 시흥갯골은 아름다운 경관과 생태적 우수성으로 시흥시의 생태환경 1등급 지역이며, 2012년 2월 국가 해양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었다. 1930년대 중반 이후 이 일대는 염전으로 개발되어 사용되었으나 1996년 염전사업 중단되면서 자연습지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곳이다. 갯벌에 사이로 난 수로를 통해 소래포구로 부터 바닷물을 끌어들여 소금을 생산했던 곳으로 예전부터 갯골이라고 불렀다. 약 145만평의 부지의 염전에서 소금생산이 중단되자 일대는 예전 자연습지에서 자라던 동식물이 다시 되살아나면서 생태환경이 복..
축만제(祝萬堤)는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화서동에 조선 후기 화성의 서쪽 여기산(麗妓山, 105m) 아래 축조한 저수지이다. 2005년 10월 17일 경기도의 기념물 제200호로 지정되었다. 일명 서호(西湖)로 불렸으나 2020년에 공식적으로 축만제로 명칭이 환원되었다. 축만제(祝萬堤)는 조선 후기 화성의 서쪽 여기산 아래 축조한 저수지로 서호라 불렀으며, 1799년(정조 23) 수원성을 쌓을 때 일련의 사업으로 내탕금 3만 냥을 들여 축조하였다. 당시 수원성의 동서남북에는 네 개의 호수〔四湖〕를 만들었다. 북지(北池)는 수원성 북문 북쪽에 위치한 일명 만석거(萬石渠)를 말하는 것으로 1795년에 완성하였다. 또한 남지(南池)는 원명 만년제(萬年堤)라 하여 1797년에 화산 남쪽의 사도세자 묘역 근처에 시..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구운동과 장안구 천천동에 걸쳐 있는 도시공원이다. 총면적 38만㎡의 부지에 잔디 광장·야외 음악당·생태 공원을 갖춘 대규모 문화 공간을 건설한다는 계획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하였고, 2005년 5월에 1단계로 시유지 1만 4,500㎡ 위에 공원이 만들어졌다. 농업 용수를 공급할 목적으로 만들었다가 주변이 도시화되면서 주민들의 휴식터로 이용되어 온 일월저수지를 끼고 있는 공원이다. 저수지를 빙 둘러 산책로가 나 있고, 한바퀴를 돌면 1,900미터로 보통 건강한 사람들은 세바퀴 정도는 거뜬하며, 중간에 체력 단련 기구와 벤치 등의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겨울이라서 꽁꽁 얼어버린 얼음위에 한가로이 노니는 오리처럼 생긴 이름모를 새떼들이, 우리 어린시절에 시골마을에서 눈썰매와 팽이치기로 얼음판..
비내섬은 충청북도 충주시 앙성면 조천리에 있는 갈대 섬이다. 남한강에 99만2000m2 면적으로 축구장 138배의 크기라 한다. 이곳에서는 예전에 갈대를 ‘베어(비어)내’로 표현하여 갈대강에 생긴 섬이라서 비내섬이라 부른단다. 이곳은 인공 구조물이 아무것도 없다. 남한강 물줄기를 따라 흐르는 물소리와 드넓게 펼쳐진 갈대 숲의 서걱이는 자연의 소리만 가득한 습지보호구역이라 소리의 섬이라고 이름하였나보다. 아마도 드라마의 소품이었을 듯 알록달록한 손수레가 이곳이 영화 촬영지였음을 알려주고 있다. 나루터에 누가 끌고가려다가 그냥 놓아둔 거 같기도 하지만, 사실은 이곳을 찾는 사람들의 사진촬영을 위한 포토존 소품이라고 한다. 비내섬을 배경으로 촬영된 드라마와 영화는 '사랑의 불시착'을 비롯해서 근초고왕, 광개토..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면에 산 모양이 용의 형상에 봉황의 머리를 닮았다하여 예로부터 용봉산이라고 부른다. 기암괴석마다 각양각생(병풍, 거북, 장군 등)의 형상을 하고 있어 경치가 뛰어나, 이 지역에서는 그 아름다움에 충남의 금강산이라고도 부른다. 역사적으로도 용봉산 정기를 이어받아 주변 10km 내외에는 최영장군, 성삼문선생, 한용운선사, 김좌진장군, 윤봉길의사 등 수많은 충신열사들이 탄생하였다. 산 정상 부근에 최영장군 활터 및 돌로 쌓은 성터 등 역사의 숨결이 살아있는 명산 이다. 주변에는 홍성온천, 덕산온천, 수덕사, 간월. 부남호, 남당항 등 관광 유원지가 많아 등산코스로 각광을 받고 있다. 용봉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본사인 수덕사(修德寺)의 말사이다. 정확한 창건연대는 알 수 없으나 현존하는..
홍성 홍주읍성(洪城 洪州邑城)은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에 있는 읍성이다. 1972년 10월 14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231호 홍주성(조양문, 아문, 산성)으로 지정되었다가 2011년 7월 28일 홍성 홍주읍성으로 명칭변경되었다. 홍주성은 조선 세종 때 쌓은 석성인데 그 이전부터 토성이 있었다. 홍주성 역사관 쪽으로 이어진 언덕이 바로 토성의 흔적이다. 성곽은 총 1.7km에 이르는데 지금은 800여 m밖에 남지 않았다. 일제강점기에 많이 헐린 데다 1978년 홍성 지진 때도 일부 무너졌다고 한다. 홍주성 사방으로 문이 각각 있었는데 서문과 북문은 소실되어 터만 남고, 남문은 2013년 12월 홍화문으로 새롭게 태어났다. 홍성은 고려시대에 운주로 불린 이후 천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고장이다. 운주로 시..
- Total
- Today
- Yesterday
- 성경타자
- 쑥부쟁이둘레길
- 가족
- 기천저수지
- 서호
- 수원팔색길
- 광교산
- 동물원둘레길
- 임영대군
- 서봉산
- 황성공원
- 소래습지생태공원
- 골프장둘레길
- 향토유적 숲길
- 화랑유원지
- 모수길
- 여우길
- 화랑호수
- 경기대학교
- 구로올레길
- 당정근린공원
- 바람길숲
- 산들길
- 모락산둘레길
- 서울둘레길
- 흥부저수지
- 설날
- 감사
- 동방저수지
- 백범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