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성공원(皇城公園, Hwangseong Park)은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공원 및 스포츠 시설단지이며, 숲으로 조성된 시민공원의 시설이 아주 잘 갖춰져 있다. 경주시에서 열리는 많은 행사들이 이 곳에서 진행된다. 숲 사이로 자동차 3~4대 정도 너비의 아스팔트로 포장된 넓다란 길과 맨발로 걷는 황토산책로가 있으며, 다른 공원에서는 찾아볼 수 없도록 이렇게 넓은 산책로를 따라 30여 종류의 운동시설도 있다. 한민족이라는 개념이 정립되기 전에 한반도에 자리 잡은 고대 국가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은 서로의 영토를 확장하기 위해 끊임없이 싸웠다. 그런데 그러한 관계에 종지부를 찍고 삼국통일을 이룩한 나라가 바로 신라이며, 이곳 경주는 신라의 수도이다. 김유신이 활동한 시기의 신라는 진흥왕의 전성기가 끝나고..
낙생저수지(樂生貯水池)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에 위치하는 저수지이다. ‘낙생’이란 명칭은 병자호란 때 충청감사 정세규가 남한산성에 포위된 인조를 구하기 위하여 북상하였다가 판교 남쪽 험천[머내]에서 청나라 군사에게 크게 패하자, 임금이 성을 나와 청 태종에게 항복하였으므로 ‘성이 떨어졌다’는 뜻의 ‘낙성(落城)’이 ‘낙생(樂生)’으로 변했다고 한다. 낙생저수지는 1956년에 착공하여 1961년에 준공한 분당 지역 최대 규모의 저수지이다. 용인시 고기동에 면하고 있어 고기리저수지라고도 불리며, 저수지의 제방 둑이 예전 낙생면 관내에 해당하여 낙생저수지라 명명하였다. 성남시는 광주산맥의 두 낙맥이 남북으로 길게 뻗은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개발 전에는 전형적인 산간 농업 지구였다. 또한 동서 산록에서..
마안산(馬安山, 113m)은 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대안리 산82-2에 평택호와 이웃하여 조용히 머물고 있다. 언젯적 만들어진 약수터인지 모르지만, 그리 오래되진 않았을 것 같은 자태임에도 떨어진 밤송이가 목욕탕의 욕조삼아 조용하게 홀로 앉아 있다. 어젯밤 내린 가을비 탓에 조금은 썰렁해진 기온이라서 그런 느낌인지 인적이 드믄 이 숲길이 더더욱 서늘해 보인다. 드넓게 펼쳐진 평택호의 모습이 흡사 바다같이 보인다. 이 길이 서해랑길 8코스란다. 서해랑길은 전라남도 해남의 땅끝전망대에서 인천강화를 연결하는 103코스 1800Km로 서쪽(西) 바다(海)와 함께(랑)걷는 길이란다. 이길은 또 평택 섶길이란다. ‘섶길’이라는 낱말은 ‘섶’과 ’길‘의 합성어로 그 뜻은 저고리나 두루마기 등의 깃 아래에 달린 길쭉한 ..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의 백의종군길(白衣從軍-)은 이순신이 간신배의 모함에 의해 1597년 3월 4일 투옥되었다가, 동년 4월 1일, 선조의 명을 받고 27일 만에 출옥한 후 의금부를 출발하여 6월 8일 권율 도원수를 만나고 8월 3일 수군통제사로 재임명 받을 때까지 걸어갔던 행로를 의미하나, 여기서 말하는 백의종군길은 후반부를 제외하고, 4월 1일 의금부를 출발하여 6월 4일 초계(합천 율곡)까지 간 행적로를 의미한다. 2015년 조성된 백의종군길은 의금부(義禁府)[현재 서울 종각역 부근]에서 출발해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에서 전라남도 구례군까지의 연결 구간 15.5㎞를 포함해 총 640.4㎞에 이른다. 백의종군길 중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초등학교에 이르는 340.2㎞ 구간이 새롭게 고증됨에 따..
나때는 "척~하면 삼척! 툭~하면 호박떨어지는 소리! 쩝~하면 입맛 다시는 소리!"라는 개그가 유행이었던 그 유명한 삼척에 하늘이 열린날이라는 개천철 대체휴무일을 얻어서 찾아왔다. 강원도 삼척시 신기면 환선로 800에 위치한 환선굴은 천연기념물 제178호로 지정되어있는 고생대 시대의 석회암 동굴이다. 태고 자연을 간직한 아름다운 숲속 국내 최고의 대굴로 1662년 허목선생이 저술한 『척주지』에 최초 기록이 존재하는 환선굴은 약 5억 3천만년 전에 생성된 석회암 동굴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규모가 큰 석회암 동굴이다. 환선굴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복잡한 구조를 지닌 노년기 동굴로써 종유석의 발달이 퇴폐적이나 윤회재생(輪廻再生)의 과정에 있는 것을 볼 수 있기도 하며 동굴류(洞窟流)의 발달이 탁월하고..
평화누리길 9코스 율곡길은 19km로 율곡습지공원에서 시작하여 전진교->두포리->파평면행정복지센터->자장리마을회관->율곡수목원까지 걷는 길이며, 율곡습지공원인 여기서부터 평화누리길 9코스 율곡길의 시작점이다. 드넓게 펼쳐진 코스모스의 꽃말은 ‘소녀의 순정’이란다. 코스모스가 가을바람에 한들거리는 모습이 소녀가 가을바람에 수줍음을 타는 것처럼 보인다고 하여 유래되었다고 한다. 신이 이 세상을 아름답게 만들기 위해 제일 처음 만든 꽃으로, 처음 만들다보니 모양과 색을 요리조리 다르게 만들어보다가 지금의 하늘하늘하고 여러 가지 색을 가진 코스모스가 만들어졌다는 전설이 있다. 코스모스는 왜 가을에 꽃이 피는가? 코스모스는 단일식물(낮의 길이가 짧아지는 때에 꽃이 피는 식물)이다. 따라서 하지가 지나면 낮의 길이..
계양산(桂陽山)은 인천광역시 계양구에 있는 높이 395.4m의 산이다. 산의 이름은 고려 초기에는 수주악(樹州岳), 고려 의종 이후에는 안남산(安南山)으로 불리다가, 고려 고종 때 계양도호부가 설치된 후 현재의 계양산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 계양산둘레길 지도는 카카오맵에서 캪춰한 것이다. 계양산이란 이름은 지명의 변천에 따라 이곳이 고려의 수주일때에는 수주악(樹州岳), 안남도호부 때에는 안남산(安南山), 계양도호부 때에는 계양산(桂陽山)으로 부르던 것이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한 때는 아남산(阿南山), 경명산(景明山)이라고도 하였다. 계수(桂樹)나무와 회양목(淮陽木)이 많이 서식하여 계양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 계양산둘레길 입구 중 한곳인 장미원은 70여 종의 장미꽃들이 만발해 시민들에게 힐..
용인에서 단일 코스로 호수 둘레길이 가장 긴 곳이 ‘기흥호수공원(器興湖水公園)’이다. 이곳의 정확한 명칭은 ‘기흥저수지’이며, 예전에는 ‘신갈저수지’로 불렸다. 둘레길의 출발점은 기흥호수공원에 있는 조정경기장 옆 주차장이며, 바로 입구에 조성된 광활한 코스모스 꽃밭에 먼저 마음을 빼앗기게 된다. 엄청난 규모의 코스모스 군무를 바라보며 내 인생은 꽃길만 걷는다는 착각에 빠지게 된다. 기흥호수공원 산책로 안내 표지판에는 A코스(도보 4시간:10Km), B코스(도보 3시간:7.7Km), C코스(도보 50분:1.4Km)로 소개하고 있으나, 걷기를 즐기며 비교적 걸음이 빠른 내가 A코스를 돌았는데 약 2시간 20분 남짓이었다. 사진을 찍으며 경관도 즐기면서 걸었음에도 이곳은 평지라서 걸음차가 심하니 공식 안내판을..
경기도 오산시 서랑동에 있는 저수지(西廊貯水池)이다. 오산시 노적봉(露積峰, 160.3m)의 북쪽 산기슭 아래에 있는 저수지로, 황구지천(黃口池川) 동쪽 들녘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1955년 축조되었다. 화성시 화산저수지 남쪽에 있다 하여 화남저수지라고도 부른다. 2014년부터 오산시에서는 서랑동을 문화마을로 조성해 오산시민의 휴식공간뿐만 아니라, 온 가족이 함께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명소로 만들기위해 여러 시설물을 새로 설치하고 관광명소로 조성하기위해 노력하고 있단다. 오산시의 시목인 은행나무는 동아시아 원산의 나무이며 자웅이주다. 침엽수도 활엽수도 아닌 독자적인 계통군을 형성하는 식물로 분류된다. 침엽수는 별도로 구과식물문(Pinophyta)이라는 계통군으로 분류되는데, 예전에는 은행나무..
화성시 팔탄면 기천리 및 봉담읍 세곡리에 걸쳐 위치한 건달산은 화성시에서 무봉산(해발360m) 다음으로 높은 산(328m)이라고 자료에 나와 있지만, 여기 안내판에는 367m로 무봉산 보다 높은 산이다. 통설에 따르면 건달(乾達)이라는 이름은 힌두교와 불교에서 말하는 상상적 존재인 간다르바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간다르바는 음악을 사랑하며 향기를 먹고 사는 자유로운 존재로 인도판 요정에 가까운 존재였지만 이 이름이 한국 등으로 넘어오면서 '일은 안 하고 빈둥댄다'라고 해서 부정적인 의미로 변질되었다. 예술가를 천시하던 관습 때문에 신들의 악사인 간다르바를 음차한 건달바가 광대와 악사를 비하하는 말이 되었고 이것이 변형되어 놀고 먹는 사람을 건달로 칭하게 되었다는 설이다. 문절공(文節公) 조원기(趙元紀) ..
- Total
- Today
- Yesterday
- 설날
- 황성공원
- 쑥부쟁이둘레길
- 경기대학교
- 모락산둘레길
- 여우길
- 수원팔색길
- 광교산
- 흥부저수지
- 동방저수지
- 화랑유원지
- 기천저수지
- 당정근린공원
- 서봉산
- 모수길
- 향토유적 숲길
- 감사
- 구로올레길
- 성경타자
- 동물원둘레길
- 서울둘레길
- 골프장둘레길
- 산들길
- 임영대군
- 소래습지생태공원
- 바람길숲
- 화랑호수
- 가족
- 백범길
- 서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